트렌드 모아보기/건강 트렌드

프로포폴 느낌 유명인들이 중독되는 이유?

식꿈 2021. 2. 7. 11:51

유명인들의 불법 투약 의혹으로 항상 매체 등장하는 프로포폴

안좋은 내용으로만 매체에 등장하다보니 일반인은 쉽게 접할 수 없는 의약품 같지만

2019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민 12명 중 1명이 프로포폴을 한 번 이상 사용한 것으로 나왔어요.

 


 

 

1. 프로포폴이란?


프로포폴은 흰색의 액체 형태를 띄는 정맥에 투여하는 수면마취제입니다.

페놀계 화합물(2.6-다이아이소프로필페놀) 1%, 콩기름 10%, 정제된 계란 인지질 1.2%, 글리세롤 2.25%

pH(산도)를 조절하는 수산화나트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윳빛을 띄고 있어서 일명 우유주사로도 불리죠.

전신마취 시의 마취 유도나 마취의 유지에 사용하며 더 적은 용량으로 수면 내시경이나 성형수술에도 사용해요.

프로포폴은 영국 ICI라는 회사가 개발하여 1977년부터 판매되었는데

초기 프로포폴은 특성상 물에 녹지 않아서 크레모포 이엘이라는 용매에 용해시켜 사용했는데

부작용이 있어서 시장에서 퇴출되었다가 1986년 대 두유를 용매로 사용한 제품으로 다시 발매되었어요.

현재는 50여 개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1992년부터 사용을 허가했습니다.

 

프로포폴은 대뇌의 기능을 저하시켜 수면을 유도하는데

다른 마취제보다 마취 유도까지 걸리는 시간이 적고 회복이 빨라요.

일반 성인의 경우 프로포폴을 투여하면 간에서 대사 되어 체내에 남지 않고 소변으로 모두 빠져나오고

다른 마취제와 달리 오심, 구토 증상이 없어서 환자와 의사 모두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죠.


2. 프로포폴 느낌


부작용이 적고 효과가 뛰어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프로포폴이지만

프로포폴은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마약류로 지정된 향정신성 의약품이에요.

프로포폴은 투약을 중단하여도 금단현상이 나타나지 않아서 마약류로 지정되지 않다가

2011년 국내에서 사회적인 이슈로 마약류로 지정된게 처음이에요.

일반적인 마약류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신체적인 중독성을 유발하나 프로포폴은 신체적인 중독성은 없어요.

하지만 프로포폴은 환각 효과와 착각할 정도로 마취에서 깨어날 때 개운한 느낌을 줘요.

짧은 시간 자고 일어나도 피로회복이 되는 듯한 상쾌한 느낌을 주는데

이 느낌 때문에 정신적인 의존성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사실 프로포폴은 중독 보다는 의존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리죠.

시간 대비 수면 효과가 뛰어난 것 같은 착각이 들기 때문에

불규칙한 생활리듬을 가진 연예인이나 재벌가 인사들의 더 프로포폴에 상습적으로 노출되는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불규칙한 생활리듬과 접근하기가 쉬운 의료계 종사자들도 프로포폴에 많이 노출되어 있죠.

 

프로포폴은 투여하면 뇌에 수면 신호를 보내는 GABA 수치를 높이는데

이때 뇌의 도파민 조절 기능이 마비되면서 도파민이 다량으로 분비되어요.

도파민 수치가 급격하게 높아지면 유포리아(극도의 행복감을 느끼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용법으로는 즉시 잠들기 때문에 느낄 수 없고

마취가 되지 않을 정도로 소량 투여할 때 유포리아를 느낄 수 있으며 점차 프로포폴 의존성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프로포폴 투여 횟수에 따라 내성이 생기고 점점 유포리아를 느끼는 효과가 떨어져

유포리아를 느끼기 위해서 점점 투여량과 횟수를 늘리게 됩니다.

 


3. 프로포폴 부작용


프로포폴은 의사의 지시하에서 적정량을 투약했을 경우엔 중독이나 부작용의 위험성이 거의 없어요.

프로포폴로 인하여 생기는 가장 흔하고 위험한 부작용은 무호흡증인데

지나치게 많이 투여하거나 중독되면 일시적으로 호흡이 멈추거나 저혈압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호흡이 멈춰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세계적인 팝스타 마이클 잭슨도 프로포폴 오남용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있죠.

 

프로포폴은 사람마다 필요한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를 주시하고 산소포화도를 점검하면서 투여량을 조절해야 해요.

일반인의 경우 프로포폴 의존이 될 확률은 많지 않지만

프로포폴 의존이 의심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치료를 받아야하며

한국마약퇴치운동 본부에서 제공하는 약물 중독자를 위한 전화 상담을 받아보시는게 좋겠죠.